객관식 다이어트 경제학: 미시편 김판기 pdf

객관식 다이어트 경제학: 미시편 김판기 pdf 다운로드를 무료로 제공합니다 공인회계사, 감정평가사, 보험계리사, 공무원 시험 등의 객관식 경제학 시험에 대비한 수험서이다. 미시편과 거시편으로 분리하였다. 무거운 교재에 대한 상당수 수험생들의 요구를 수용한 결과이다.

관련 책 pdf 모음

객관식 경제학 7급 정병열 pdf 다운

책 소개

이 책은 공인회계사, 감정평가사, 보험계리사, 공무원 시험 등의 객관식 경제학 시험에 대비한 수험서이다. 같은 교재라도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때론 기본서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용도로, 때론 고득점을 위한 마지막 정리를 위해, 때론 시험을 앞두고 뒤처졌던 공부를 한꺼번에 만회하기 위한 절박함 속의 희망으로 이 책이 사용되리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 결코 가볍지 않은 책임감 속에서 본 교재를 집필하였다. 교재를 집필하면서 다음과 같은 점에 역점을 두었다. 미시편과 거시편으로 분리하였다. 무거운 교재에 대한 상당수 수험생들의 요구를 수용한 결과이다. 각 장마다 이론요약, OX문제, 기출 및 핵심문제의 3단계로 구성하였다. 교재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공부하길 바란다. 이론요약에서는 매 단원별 핵심사항을 정리하여 굳이 기본서를 다시보지 않더라도 문제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였다. 일반적인 경제학 교과서의 내용서술 방식에 얽매이지 않고 시험에 꼭 필요한 내용을 다양한 방법으로 압축하였고 저자의 강의 진행방식과 유사하게 정리하여 기본강의와 객관식 교재사이의 연관성을 높이도록 노력하였다. 각 장마다 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는 문장들을 OX문제로 정리하였다. 그동안 출제되었던 기출문제에 반복적으로 등장했던 지문을 중심으로 선별하였으므로 내용이해와 출제논점을 잡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기출 및 핵심문제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시행된 객관식 경제학 시험(행시, 사시, 외시, 입법고시, 공인회계사, 세무사, 7급 공무원, 보험계리사, 감정평가사, 공인노무사 등)의 기출문제 중 출제가 유력한 핵심문제를 엄선하였고 본 저자가 그동안 출제하였던 각 대학 모의고사 문제와 출제예상문제를 추가하여 구성하였다. 경제학의 복잡한 이론구성과 다양한 논리체계를 수험목적에 맞게 압축적이고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다보니 지나친 단순화와 논리적 비약의 폐해가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수험서라는 교재 본연의 목적에 충실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음을 이해하기 바라며 앞으로 더 좋은 교재가 되도록 꾸준히 노력할 것을 약속드린다. 아무쪼록 이 교재로 인해 수험생 여러분들이 원하는 결과를 얻는데 도움이 된다면 그보다 큰 기쁨은 없을 것이다. 보잘 것 없는 책이지만 이 책이 나오기까지 도움을 주신 많은 분들이 있다. 게으른 저자 때문에 노심초사한 나무와 사람 출판사 노고에 감사드린다. 또한 언제나 혈육과 같은 애정과 신뢰로 저자를 격려해 준 나무경영아카데미 강사진 모두에게 고마움을 전한다. 그러나 가장 큰 도움은 그간 저자의 강의현장에서 때론 강의실에서, 때론 복도에서, 때론 전화와 이메일 등을 통해서 수많은 의문과 새로운 시각을 끊임없이 제시해준 수험생 여러분이다. 그들의 열정과 샘물 같은 지적 호기심에 감사드린다. 끝으로 보잘 것 없는 사람을 거두어서 닦고 또 닦아 윤이 나도록 애쓰는 아내에게 깊은 고마움을 전한다.

객관식 다이어트 경제학: 미시편 pdf


객관식 다이어트 경제학 미시편 pdf

PART 01 수요 · 공급의 이론
01 경제학의 기초
02 수요 · 공급의 원리
03 수요 · 공급의 탄력성
04 수요 · 공급이론의 응용

PART 02 소비자이론
05 한계효용이론
06 무차별곡선이론
07 현시선호이론
08 소비자이론의 응용
09 불확실성하의 소비자선택(기대효용이론)

PART 03 생산자이론
10 생산이론
12 비용이론

PART 04 시장이론
12 완전경쟁시장
13 독점시장
14 독점적 경쟁시장
15 과점시장
16 게임이론

PART 05 생산요소시장과 소득분배이론
17 생산요소시장
18 기능별 소득분배이론
19 계층별 소득분배이론

PART 06 일반균형과 후생경제학
20 일반균형과 파레토 효율성
21 후생경제학
22 시장실패
23 공공선택이론
24 정보경제학과 행동경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