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관식 거시경제학 마인드 윤지훈 pdf 다운로드를 무료로 제공합니다 거시경제학 마인드는 반복을 위한 교재다. 거시경제학은 욕심을 부리면 국제경제학, 특히 국제금융론의 모든 내용을 담아내야 한다. 하지만 이는 미거시 경제학의 기초를 토대로
관련 책 pdf 모음
책 소개
경제학이라는 과목은 많은 수험생들에게 골칫거리인 과목입니다. 특히 수학적 기초 가 부족한 경우 경제학은 적어도 쉽게 다가오지 않는 과목입니다. 모든 학문이 마 찬가지이지만 아무리 어렵더라도 요령껏 접근해서는 안 됩니다. 기본에 충실해야 목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기본에 충실해야 다양한 난이도를 대응해 낼 수 있습니다. 기본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상태에서 내용을 암기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분명 어느 정도 효과가 있 지만 항상 변형, 응용에 대한 어려움과 불안감을 떨쳐내기에 부족한 것도 사실입 니다. 게다 최근의 시험 난이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서는 더더욱 바람직하지 않 은 방향의 공부가 됩니다. 다양한 과목을 준비하시는 수험생 분들 입장에서 경제학은 다른 과목들과 속성이 다른 학문입니다. 수학적 이해, 내용적 이해 뿐 아니라 답안 작성을 위한 논리적 흐 름에 대한 이해 역시 필요합니다. 결국 목표는 답안에 자신의 지식을 현출해 내는 것이므로 주관식 시험 특성상 같은 답을 내더라도 누가 더 논리적으로 치밀하고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있느냐에 따라 다른 점수 및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거시경제학 마인드는 반복을 위한 교재입니다. 거시경제학은 욕심을 부리면 국제경 제학, 특히 국제금융론의 모든 내용을 담아내야 합니다. 하지만 이는 미거시 경제학 의 기초를 토대로 국제경제학을 파생시켜야 하는 바람직한 공부방향의 중심을 잡는 데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한국 경제의 특성상 담을 수밖에 없는 부분은 정리해 두었으나 국제경제학 자료 및 수업을 통해 정리하는 것이 바람직한 내용들은 상당 부분 제외되었습니다. 거시경제학 역시 경제학에서 반드시 이해해야 하는 그래프를 최대한 치밀하게 표현하는데 힘을 쏟고, 내용을 최대한 압축하여 필요한 부분과 그 렇지 않은 부분에 차등을 두었고 전반적인 흐름 하에서 응용되어 있는 부분들 그리 고 이론 설명 중 강조하고 싶은 내용과 핵심 내용은 tip을 통해 저의 설명을 대신 하였습니다. 5판에서는 새로운 모형 뿐 아니라 학파별 정리 테마를 추가하여 시간 의 흐름에 따른 각 학파의 주요 주장들을 정리, 요약하여 넣었습니다. 이 역시 그래 프를 중심으로 정리되어 있으므로 추후에 그래프만으로도 충분히 복습이 될 수 있 을 것입니다. 교재 이름처럼 경제학적인 마인드를 제대로 형성한다면 경제학은 언제나 든든한 힘이 될 것입니다. 교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도움을 주신 많은 분들을 모두 언급 할 수 없으나 이 글을 빌어 모든 분들에게 진심 어린 감사를 전합니다.
주관식 거시경제학 마인드 pdf 다운
chapter 1 거시경제학의 기초
01 | 거시경제와 관련된 기초 2
02 | 국민소득의 측정 3
03 | 고전학파의 국민소득결정이론 6
04 | 케인즈의 국민소득결정이론 8
05 | 거시경제학의 흐름 11
chapter 2 총수요-총공급이론
01 | 케인즈의 경기변동이론(화폐환상모형) 16
02 | 생산물 시장과 곡선 18
03 | 화폐 시장과 곡선 22
04 | 먼델-토빈효과, 유동성효과, 피셔효과 24
05 | 승수 및 곡선의 도출 28
06 | 곡선의 도출 30
07 | 총수요-총공급 충격과 관련된 사례 문제의 해결 34
08 | 학파별 , 정책의 효과 비교 38
chapter 3 소비함수와 투자함수
01 | 소비이론의 기초 40
02 | 쿠즈네츠의 실증분석 40
03 | 절대소득가설 41
04 | 상대소득가설 41
05 | 시점간 자원배분과 소비이론 42
06 | 투자이론의 기초 52
07 | 전통적 투자이론 53
08 | 현대적 투자이론 55
chapter 4 화폐금융론
01 | 화폐와 금융, 금융제도 62
02 | 화폐공급 이론 64
03 | 고전학파 계열의 화폐수량설 67
04 | 케인즈의 화폐수요이론 69
05 | 케인즈 학파의 화폐수요이론 70
06 | 화폐금융정책 75
07 | 자산가격 설정방식과 금리스프레드 80
chapter 5 실업과 인플레이션
01 | 노동공급과 노동수요의 미시적 기초 84
02 | 실업 86
03 | 물가와 인플레이션 96
04 | 필립스곡선 100
chapter 6 학파별 비교
01 | 고전학파와 케인즈 112
02 | 케인즈학파와 통화주의학파 114
03 | 새고전학파와 새케인즈학파 115
04 | 학파별 정리 120
chapter 7 경기변동론
01 | 경기변동 개념과 주요지수 122
02 | 실물경기변동론자의 경기변동이론 124
03 | 화폐적 경기변동이론 128
04 | 새케인즈학파의 경기변동론 129
05 | 새고전학파와 새케인즈학파의 대립 131
chapter 8 경제성장론
01 | 경제성장과 관련한 정형화된 사실과 성장회계방정식 134
02 | 외생적 성장이론 135
03 | 내생적 성장이론 142
chapter 9 개방경제
01 | 국제거래의 종류와 국제경제학의 이해 148
02 | 국가간 자본의 이동 150
03 | 환율 결정론 152
04 | 국제수지방정식 161
05 | 환율과 순수출과의 관계 165
06 | 모형 (먼델-플레밍 모형) 168
07 | 모형 177
08 | 모형 178
09 | 환율제도와 국제통화제도의 변천 182
10 | 불태화정책 183
11 | 외환보유고 누적에 따른 효과 184
12 | 쌍둥이 적자 184
13 | 최적통화지역이론 185
14 | 출구전략 : 양적완화의 종결 186
chapter 10 주요 이슈와 새로운 모형들
01 | 균형재정 법제화가 경기에 미치는 효과 188
02 | 고용 없는 성장 188
03 | 殮璲 모형에 근거한 일반균형이론의 정리 189
04 | 총수요충격과 총공급충격을 활용하는 사례문제 190
05 | 유동성 공급모형과 뱅크런 192
06 | 거시건전성 정책수단 193
07 | 모형의 이해 194
08 | 모형의 이해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