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사무관이 알려주는 합격 위한 글쓰기 pdf

현직 사무관이 알려주는 합격을 위한 글쓰기 pdf 다운로드를 무료로 제공합니다 수험생들은 합격이라는 희망 하나로 좁은 고시원, 원룸을 터잡아 조금이나마 식사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고시식당에서 끼니를 해결하며 학업에 정진하고 있습니다

관련 책 pdf 모음

이나우의 합격하는 독해연습 pdf

책 소개

먼저 1차시험의 고비가 있었습니다. 1차시험인 PSAT을 잘못 준비한 탓에 1차시험을 연이어 탈락하였습니다. 다만, 연이은 탈락 속에 어떻게 1차 시험을 준비하면 되는지에 대해 알게 되었고, 1차 시험을 어떻게 보면 되는지 이해하게 되면서 다행히 1차 관문은 넘길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더 큰 고비가 있었습니다. ‘행시의 꽃’이라 불리는 2차 시험이 있었던 것입니다. 1차 시험은 즉흥적인 상황판단 능력과 순발력이 중요하였다면, 2차 시험은 본격적으로 5개의 이론과목들을 공부하여야 하고 이들 과목들의 주요 이론들을 기반으로 자신의 글을 10페이지씩 써야 하는 시험입니다. 과거 조선시대의 과거시험의 현대판 시험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면접의 중요성이 높지 않았던 예전에는 2차 시험까지만 합격하면 최종 합격으로 여겨지기도 하였습니다. 이 2차 시험에서 3번의 낙방을 하였습니다. 군 제대 이후 정말 오랜기간 열심히 공부했다고 생각했고, 교과서도 수없이 반복해서 읽어봤다고 자부하였지만 결과는 낙방 뿐이었습니다. 처음에는 공부가 부족했다고 생각하고 더 많은 시간을 공부하였지만 결과는 같았습니다. 그런데 한번 떨어지고, 두 번째 떨어지고, 세 번째 떨어지면서 뭔가 알게 되었습니다. 그 동안 시험 준비를 잘못된 방향으로 하고 있었다는 것을.. 열심히 공부했는지와 어떠한 답안을 쓰는 지는 정말로 다른 것이며, 수험생 입장에서 성실하게 오래 공부한 것은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모든 실력과 노력은 오직 답안으로만 평가되며 합격할 수 있는 답안을 써야만 합격에 좀 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었던 것이었습니다. 즉, 답안을 작성할 수 있는 글쓰기 능력, 그리고 좋은 답안을 작성할 수 있는 방법들이 다른 공부보다 더 중요했었습니다. ‘이론과 내용을 많이 아는 것보다 문제와 출제의도에 맞는 답안을 쓰는게 더 중요하다’ ‘많이 아는 것보다 답안을 쓸 만큼만 알면 된다’ 이런 생각을 바탕으로 2차 시험을 준비하게 되면서 공부분량도 크게 줄어들었고 시험에 대한 부담도 크게 줄일 수 있었습니다. 2차 점수도 어느정도 안정권에 접어들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왜 어떤 수험생은 짧은 수험기간 안에 합격을 할 수 있었는지, 같은 학원강의를 듣고 누구는 고득점을 받고 누구는 그렇지 않은지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덕분에 마지막 해에는 준비기간이 매우 짧았음에도 불구하고 다행히 공부 효율성을 최대한 높여 좋은 결실을 맺을 수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수험기간 내내 제게 이 점을 알려주는 사함은 아무도 없었습니다. 2차 시험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이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글쓰기’의 방법과 이에 기반한 공부방법은 수차례 시험에 탈락하면서 혼자 알아갈 수 밖에 없었습니다.

현직 사무관 알려주는 합격 글쓰기


현직 사무관 합격 글쓰기 pdf

I 서론 : 이 책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 6

Ⅱ. 5급 공채시험 2차 시험 이해하기 / 10
1. 5급 공채 시험 / 10
2. 논술시험을 치는 이유 / 12
3. 2차 논술시험과 다른 시험과의 공부방법 차이점 / 15
4. 2차 논술시험과 다른 유형의 글쓰기와의 차이점 / 20
5. 채점자들의 채점방식을 이해해 보자 / 23
6. 5급 공채 수험생의 미션과 비전은? / 24
7. 정리 / 26

Ⅲ. 좋은 답안을 쓰기 위한 사전 준비 / 28
1. 수험용 글쓰기에서 좋은 글이란? / 28
2. 글쓰기 비유1 : 맛있는 요리를 준비하는 것 / 30
3. 글쓰기 비유2 : 하나의 영화 시나리오를 만드는 것 / 34
4. 본인의 가치판단 기준이 있는가? / 46
5. 2차 논술시험, 얼마나 준비되어 있는가? / 50

Ⅴ. 합격을 위한 기본적인 글쓰기 방법 / 56
1. 문제 출제 방식 이해하기 / 56
2. 사회과학적 글쓰기 / 58
3. 시간관리 / 63
4. 첫 인상을 좋게 하기 / 65

Ⅵ 합격을 위한 효과적인 공부방법 / 172
1. 기출 중심으로 공부하기 / 172
2. 공부분량을 너무 늘리지 않기 / 175
3. 학원이 아닌 자기 주도적으로 공부하기 / 177
4. 거꾸로 공부하기 / 178
5. 기타 효과적인 공부방법들 / 180
6. 중요하지 않은 것들 / 196
7. 실패한 공부사례 / 198
8. 처음 답안쓰기에 도전하는 수험생을 위한 글 / 200
[기타] 1차 공부는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