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규 여다나 압축 선행정학 pdf 다운로드를 무료로 제공합니다 수험생들의 소중한 의견을 반영하여 가독성과 디테일을 더욱 높였다. 최근 여러차례에 걸쳐 개정된 다수 법령들을 완벽하게 분석하여 특별자치도의 자치계층, 공무원 노조전임자의 지위와 보수
관련 책 pdf 모음
책 소개
출간되어 탁월한 가독성과 알찬 내용으로 수험생들의 폭발적인 호응과 찬사를 받았던 여다나 압축 선행정학이 이번에 네번째 판인 2024판을 선보이게 되었습니다. 여다나 압축 선행정학에 대한 수험생들의 사랑은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많습니다. “합격생들이 0순위로 추천하는 책” “공무원 수험서 전체를 통틀어 가장 가독성이 높은 책” “공부가 하고 싶어지는 책” “펼쳐 보기만 해도 저절로 이해되고 암기되는 책” “가독성이 예술인 책” 등등 수험생들의 평가는 가히 폭발적이었습니다. 수험생들의 이러한 호응과 평가에 부응하고 보답하기 위해 2024 여다나 선행정학은 다음과 같이 완성도를 한층 더 높였습니다. 2022 하반기와 2023 상반기의 신경향 출제경향을 분석·반영하였습니다 수험생들의 소중한 의견을 반영하여 가독성과 디테일을 더욱 높였습니다 최근 여러차례에 걸쳐 개정된 다수 법령들(「공무원노조법」, 「지방자치법」, 「주민투표법」, 「주민조례발안법」, 「공공기관운영」 등)을 완벽하게 분석하여 특별자치도의 자치계층, 공무원 노조전임자의 지위와 보수 등의 내용을 반영하였습니다. 특히 2022년에 전면 개정·출간된 새행정학 3.0 등 최신 문헌의 내용을 심층분석하여 출제 가능성이 높은 신이론들(공공가치관리론, 넛지이론, 귀인이론, 공공부문이론,이해충돌이론, 변경된 통합재정범위, 재정준칙, 지능형정부, 주민자치회, 특별지방자치단체 등)을 대거 포함시켰습니다.
김중규 여다나 압축 선행정학 다운
Ch 01 행정학의 기초이론
SUBJECT 01 행정의 본질
01 행정의 개념 ㆍ 23
02 공공재로서의 행정 ㆍ 24
03 행정의 변수·기능·과정 ㆍ 26
SUBJECT 02 행정과 환경
01 행정과 정치 ㆍ 28
02 행정과 경영 ㆍ 30
03 행정과 법 ㆍ 31
04 시민사회와 제3섹터 ㆍ 32
05 사회적 자본 ㆍ 34
SUBJECT 03 행정의 변천
01 국가와 행정의 변천 ㆍ 37
02 행정국가와 현대행정의 특징 ㆍ 38
03 신행정국가 ㆍ 39
04 진보주의 정부관과 보수주의 정부관 ㆍ 40
05 후기산업사회의 행정 ㆍ 41
SUBJECT 04 행정의 존재이유 – 시장실패와 대응
01 시장실패 ㆍ 43
02 정부규제 ㆍ 44
03 Wilson의 규제정치모형 ㆍ 47
04 행정지도 ㆍ 48
SUBJECT 05 행정의 한계 – 정부실패와 대응
01 정부실패 ㆍ 50
02 공공재의 적정 공급규모 ㆍ 52
03 감축관리론 – 작은 정부론 ㆍ 53
04 공공부문의 민간화 ㆍ 54
SUBJECT 06 행정의 지향과 가치
01 행정과 가치 ㆍ 57
02 행정이념의 우선순위와 상호관계 ㆍ 58
03 공익성 ㆍ 59
04 형평성 ㆍ 61
05 정의 ㆍ 62
06 합법성·능률성 & 민주성 ㆍ 63
07 합리성 ㆍ 64
08 효과성 ㆍ 65
09 가외성 ㆍ 66
SUBJECT 07 행정학의 특징과 체계
01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ㆍ 68
02 행정학의 접근법 ㆍ 69
03 행정학의 성립과 발달 ㆍ 70
SUBJECT 08 행정학의 주요이론
01 행정의 변천과 흐름 ㆍ 72
02 과학적 관리론 ㆍ 73
03 인간관계론 ㆍ 74
04 행태론 ㆍ 75
05 생태론 ㆍ 77
06 체제론 ㆍ 78
07 비교행정론 ㆍ 80
08 발전행정론 ㆍ 81
09 신행정론 ㆍ 82
10 후기행태주의 ㆍ 83
11 현상학 ㆍ 84
12 비판행정학과 담론행정 ㆍ 85
13 공공선택론(Ⅰ) – 기본가정과 특징 ㆍ 86
14 공공선택론(Ⅱ) – 주요 모형 ㆍ 88
15 신제도론 ㆍ 91
16 신공공관리론 ㆍ 93
17 (뉴)거버넌스론 ㆍ 95
18 레짐이론 ㆍ 97
19 신공공서비스론 ㆍ 98
20 탈신공공관리론 ㆍ 100
21 공공가치관리론 및 넛지이론 ㆍ 102
Ch 02 정책론
SUBJECT 01 정책과 정책과학의 본질
01 정책과학의 특성과 본질 ㆍ 107
02 정책의 개념과 구성요소 ㆍ 108
03 정책의 유형 ㆍ 110
SUBJECT 02 정책의제와 정책목표
01 정책의제의 설정 ㆍ 114
02 정책의제 설정에 관한 이론모형 – 국가론 ㆍ 117
03 정책네트워크(정책망) 모형 ㆍ 120
04 정책목표 ㆍ 122
SUBJECT 03 정책분석과 미래예측
01 정책대안의 평가기준과 정책모형 ㆍ 124
02 정책분석의 유형과 차원 ㆍ 125
03 비용편익분석(체제분석) ㆍ 126
04 관리과학 ㆍ 129
05 직관적 예측 ㆍ 130
06 불확실성과 미래예측 ㆍ 131
SUBJECT 04 정책결정
01 정책결정의 본질과 과정 ㆍ 134
02 정책결정요인이론 ㆍ 135
03 정책결정 이론모형(I) – 개인차원의 모형 ㆍ 136
04 정책결정 이론모형(II) – 집단차원의 모형 ㆍ 139
SUBJECT 05 정책집행
01 정책집행이론 ㆍ 143
02 정책집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 ㆍ 148
03 정책변동과 학습 ㆍ 150
04 기획의 본질과 특성 ㆍ 152
SUBJECT 07 정책평가와 환류
01 정책평가의 본질과 절차 ㆍ 155
02 정책평가의 유형 ㆍ 156
03 우리나라의 정책평가 – 정부업무 평가 ㆍ 157
04 정책평가의 요소 – 인과관계·변수· 타당성ㆍ 158
05 정책평가의 방법 – 실험 ㆍ 162
06 정책변동과 환류 ㆍ 163
Ch 03 조직론
SUBJECT 01 조직의 본질과 기초이론
01 조직의 유형 ㆍ 167
02 조직이론의 변천 ㆍ 171
SUBJECT 02 조직행동론
01 인간관과 동기이론 ㆍ 174
02 조직문화 ㆍ 180
03 의사전달 ㆍ 182
04 갈등 ㆍ 183
05 권력 ㆍ 186
06 리더십 ㆍ 187
SUBJECT 03 조직구조론
01 조직의 구조변수 ㆍ 191
02 조직의 원리 ㆍ 194
03 관료제 ㆍ 195
04 후기관료제(탈관료제) ㆍ 197
05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 계선과 막료 ㆍ 201
06 위원회 ㆍ 203
07 우리나라 정부조직체계 ㆍ 205
08 책임운영기관 ㆍ 207
09 공기업 ㆍ 209
SUBJECT 04 조직환경론
01 거시조직이론 ㆍ 212
02 혼돈이론 ㆍ 215
SUBJECT 05 조직관리론
01 정보공개제도 ㆍ 217
02 목표관리(MBO) ㆍ 218
03 조직발전(OD) ㆍ 220
04 전략적 관리와 위기관리 ㆍ 222
05 리엔지니어링(RE) ㆍ 223
06 총체적 품질관리(TQM) ㆍ 224
07 시민헌장제도 ㆍ 225
08 성과관리(균형성과관리 중심) ㆍ 226
Ch 04 인사행정론
SUBJECT 01 인사행정의 기초이론
01 인사행정의 특징과 흐름 ㆍ 231
02 엽관주의 ㆍ 232
03 실적주의 ㆍ 233
04 직업공무원제도 ㆍ 234
05 대표관료제 ㆍ 236
06 인사행정의 변천과 이념적 가치 ㆍ 238
07 중앙인사행정기관 ㆍ 239
08 적극적 인사행정 & 인적자원관리 ㆍ 241
SUBJECT 02 공직의 분류
01 경력직과 특수경력직 ㆍ 243
02 개방형과 폐쇄형 인사 ㆍ 245
03 계급제 ㆍ 247
04 직위분류제 ㆍ 248
05 고위공무원단 제도 ㆍ 251
SUBJECT 03 공무원의 임용
01 임용과 모집 ㆍ 254
02 시험 ㆍ 255
SUBJECT 04 공무원의 능력발전
01 교육훈련 ㆍ 258
02 근무성적평정 ㆍ 259
03 역량중심의 인사 ㆍ 262
04 승진과 배치전환 등 ㆍ 263
SUBJECT 05 공무원의 복지와 사기
01 공무원의 사기 ㆍ 266
02 공무원의 보수 ㆍ 267
03 공무원 연금 ㆍ 269
04 신분보장 ㆍ 271
05 공무원 단체 – 공무원노조 ㆍ 273
SUBJECT 06 공직윤리와 부패
01 정치적 중립 ㆍ 277
02 공직윤리 ㆍ 278
03 공직부패 ㆍ 282
04 내부고발자 보호제도 ㆍ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