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의 눈 공부법 4.0 김동률 pdf 다운로드

아침의 눈 공부법 4.0 김동률 pdf 다운로드를 무료로 제공합니다 현행 공무원시험은 물론, 2021년 이후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전면 개정됐다. 아공법의 체계성과 정합성을 강화, 현행 수험환경과 2021년 제도 변화 이후 대응방법을 업데이트했다

관련 책 pdf 모음

공무원 시험을 정복하는 공부법 pdf

책 소개

수험생 vs. 강사 : 그 오류의 시작 강사들은 자신이 제시하고 있는 수험범위에서 단 한 문제도 놓치면 안 된다는 압박감 속에서 산다. 특정 시험에서 놓치는 문제가 생기면 수험생들로부터 외면을 당하기 때문이다. “그 강사 기본서에서 이번에 출제된 그 문제가 빠졌대”라는 소문이라도 돌게 되면 수험생들은 더 이상 그 강사를 신뢰하지 않는다. 이처럼 수험생들은 시험 준비를 완벽하게 하려는 성향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단 한 문제도 놓치지 않는 강사를 원한다. 시험 준비를 완벽하게 하는 것이 실제로 가능한지 여부는 수험생들에게 별로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그것이 설사 가능하지 않더라도 그들은 거의 본능적으로 공부를 완벽하게 하려고 노력한다. 완벽하게 공부하는 것이 가장 마음 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험생들이 강사들에게 원하는 것은 ‘all or nothing’이다. 강사들은 이에 부응하여 완벽한 강의와 완벽한 수험서를 제공하려 애쓴다. 시장수요를 고려한 강사들의 합리적 생산활동인 것이다. 강사들이 고려하지 않는 것들 수험가, 특히 노량진이나 신림동에 있는 강사들은 자신이 가르치고 있는 과목에서 대한민국 최고의 전문가들이다. 강사들은 ‘그 과목에 한해서만큼은’ 수험생들이 100점을 획득할 수 있게 해준다. 이를 위해 넘쳐날 정도의 콘텐츠를 제공한다. 다양한 유형의 강의를 하는 것은 물론, 기본서, 기출문제집, 예상문제집, 요약서 등도 출간한다. 자신의 강의를 듣는 수강생들에게는 ‘특수프린트’라는 명칭으로 특수하지도 않은 각종 자료들을 대량으로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불행히도 강사들은 수험생들이 여러 과목을 공부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지 않는다. 자신이 가르치고 있는 과목의 ‘전체과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강사들에게 별로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강사들은 자신이 가르치는 과목에서 100점을 획득하기 위해 걸리는 ‘시간’ 역시 고려하지 않는다.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건 빗나가는 시험문제만 발생하지 않으면 그만이다. 왜냐하면 수험생들이 그렇게 해주길 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그저 강사로서 해야 할 일을 하고 있을 뿐이다. 수험생들이 인지조차 못하는 것들 평균적인 수험생들은 강사가 생산하는 모든 것들을 아무 생각 없이 전부 다 받아들이려 한다. 그것들을 모조리 다 마스터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힌다. 그 강박관념을 해소하기 위한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수행한다. 하지만 결국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상태에서 시험장에 들어간다. 시험을 치르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이 공부를 계속해야 할 것인지 고민하며 자신의 능력을 의심한다. 시험에 불합격한다. 그러나 불가능한 분량을 공부하려 한 것도 자신의 탓이요, 강사가 지나치게 많은 콘텐츠를 생산해 낸 것도 자신이 그렇게 원했기 때문이다. 강사들은 그저 수요가 있으므로 공급했을 뿐이다. 즉 수험이라는 시장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가장 근본적인 오류는 애초에 수요자인 수험생 자신이 만들어낸 것이다. 이 근본적인 오류는 또 다른 오류를 생산한다. 영리한 수험생들은 이 오류들을 일찍이 간파하고 헤쳐 나갈 길을 모색한다. 하지만 평균적인 수험생들은 오류가 있는지조차 인지하지 못한 채 다람쥐 쳇바퀴 돌듯 의미 없는 수험생활을 반복한다. 극단적으로는 해가 갈수록 성적이 오히려 떨어지는 방식의 공부마저 하게 된다. 평범한 수험생을 위한 가장 현실적인 공부법 나는 이러한 평범한 수험생들을 수험시장에 그대로 남겨둔 채 홀로 도망쳐 나올 수 없었다. 남겨진 동료들에게 꼭 전해야만 했던, 절박한 이야기들이 있었다. 수험가에 난무하고 있는 수험학적 오류들에 대해 내가 총대를 메서라도 폭로해야 했다. 수험시장의 현행 시스템 하에서는 제아무리 열심히 노력해도 시험에 떨어질 수밖에 없는 안타까운 수험생들이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아공법」은 평범한 수험생이 공부 과정에서 범할 수 있는 각종 수험학적 오류들을 철저하게 지적하고, 이 오류들을 바로잡아 객관식 시험에 가장 현실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공부방법론을 제시했다. 〈법률저널공무원〉에 연재했던 ‘문제집 중심의 객관식 공부방법론’과 다음카페 〈아공법〉에 게재했던 모든 글들은 이 책의 모태가 되었다. 그 당시 퇴고도 없이 급하게 썼던 글들을 하나하나 다듬어 체계적으로 재구성하여 완성시키는 한편, 이를 좀 더 확장하고 심화시켰다. 「아공법」을 자신의 상황에 맞춰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다면, 적어도 최선의 노력을 다했음에도 불구하고 시험에 떨어지는 최악의 사태만은 피할 수 있을 것이다. 「아공법」은 내가 창안한 공부법이 아니라 예전부터 수많은 합격자들이 활용했던 아주 보편적인 공부방법론에 불과하다. 다만 수험생들의 선입견과 편견, 고정관념에 짓눌려 수면 위로 떠오르지 못하고 사장(死藏)되어 왔을 뿐이다. 내가 1년여에 걸쳐 했던 작업은 바로 이를 재생(再生)하는 일이었다. 무엇보다 나는 수험생시절 직접 겪어 가면서 고민의 고민을 거듭했던 모든 것들을 최대한 허심탄회하게 전달하려고 노력했다. 개설한 지 1년도 채 되지 않은 〈아공법카페〉에 벌써부터 올라오고 있는 각종 공무원시험의 합격수기들은 바로 그 결실이다. 이제 갓 공직에 입문한, 새내기에 불과한 내가 휴일만 활용하여 짧은 기간에 600면에 달하는 책을 쓰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내 능력 밖의 일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내가 글쓰기의 고통을 견뎌낼 수 있었던 것은 수험생활의 참담함을 그 누구보다도 뼛속 깊이 새겨두고 있었기 때문이다. 내가 겪었던 그 참담함을 지금 이 순간 겪고 있을 그 누군가를 위해 나는 스스로 채찍질을 가할 수밖에 없었다. 「아공법」이 부디 당신의 수험생활에 조그마한 위로라도 되었으면 좋겠다.

아침의 눈 공부법 4.0 김동률 pdf


아침의 눈 공부법 4.0 김동률 pdf

제4판 출간에 부쳐
|『아공법 4.0』 업데이트 002
프롤로그
| 가장 근본적인 수험학적 오류 005
추천사
| 수많은 공부법에서 길을 잃은 당신에게 / 이진우 변호사 009
| 힘든 수험생활을 왜 더욱 힘들게 하고 있는가? / 조기현 변호사 014
「아공법 4.0 & 외전」 목차분석 017
일러두기 020

PART 1 총론 : 불합격의 원인과 대책

┃제1장 : 공부법 일반론┃
불합격의 원인 : 완벽주의의 함정
| 01 ‘안전한 공부법’의 배신 029
| 02 완벽하게 공부할 수 없는 이유 032
| 03 최악의 공부법 037
| 04 100점 목표 vs. 90점 목표 03
| 05 강의와 ‘이해 판타지’ 041
| 06 기본서에 빠진 것을 어찌할꼬 044
| 07 ‘100% 적중 기본서’라는 허상 046
| 08 우등생은 모르는 열등생의 본능 049
| 09 기초실력에 대한 집착 053
| 10 합격수기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058
| 11 지나친 헤아림의 병 063
| 12 ‘불합격의 원인’ 복습 : 완벽주의의 함정 066

불합격의 대책 : 줄여가기의 추구
| 13 아공법의 과학적 근거 069
| 14 수험적합한 공부란 무엇인가 072
| 15 공무원시험 vs. 다른 객관식시험 077
| 16 아공법의 기본적인 아이디어 081
| 17 독학은 왜 효율적인가 085
| 18 시험 전날 1회독한다고? 089
| 19 시험막판에 포기하지 않으려면 091
| 20 복습시점을 의식하는 공부 094
| 21 줄여가며 공부할 수밖에 없다 098
| 22 이상적인 ‘회독수’ 101
| 23 어려운 시험 vs. 쉬운 시험 103
| 24 ‘불합격의 대책’ 복습 : 줄여가기의 추구 107
┃제2장 : 수단별 공부법┃

소극적 학습수단 : 강의+기본서+스터디
| 01 강의가 잡아먹는 것 111
| 02 강의는 정말 효율적인가 113
| 03 강의가 필요한 경우 118
| 04 강의 듣는 요령 121
| 05 강의와 기출문제의 연계 125
| 06 가짜 ‘기본서 중심주의’ 127
| 07 기본서와 기출문제 표시 131
| 08 스터디 운영방법론 136

적극적 학습수단 : 문제집+암기노트+모의고사
| 09 왜 문제집인가? 142
| 10 문제집의 효율성 145
| 11 문제집 중심 공부법이란 무엇인가 150
| 12 문제집만 공부하기도 벅차다 153
| 13 암기노트가 필요한 이유 156
| 14 암기노트 작성방법론 159
| 15 암기노트 작성예시 165
| 16 모의고사 활용방법론 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