쟁점 행정학 핸드북 이동호 pdf 다운로드를 무료로 제공합니다 15년치 행시 입시 기출문제 쟁점정리 6년치 주요대학 모의고사 문제 논점 수록 쟁점별 실전 답안작성 분량으로 행정학 정리하여 쟁점 행정학을 학습합니다
관련 책 pdf 모음
책 소개
많은 수험생들의 초판에 대한 호응에 힘입어 이번에 개정판을 세상에 내놓게 되었다. 개정판에는 그동안 각 대학 고시반에서 출제되었던 주제들과 2020년도 행정고시, 입법고시 기출문제 주제들을 반영하였다. 그 결과 약 20개의 토픽들이 추가되었다. 또한 기존 토픽 본문에도 부분적인 내용 수정을 가하였다. 목차를 수정하고, 각종 수치를 수정하고, 새로운 이론들을 추가로 수정하여 교재에 반영하였다. 또한 본 강사의 수업을 들은 합격생들의 다양한 조언과 자료들도 참고하여 교재에 최대한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들은 2018년 70점, 2019년 63점, 2020년 66점 등 최고점을 받은 합격생들이기에 이들의 조언은 교재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아무리 좋은 논문이나 자료들이라 하여도 주제별로 정리가 되지 않는다면 수험적합성이 떨어질 것이다. 아무리 공부를 열심히 하더라도 시험장에서 답안지로 표출되지 않으면 의미가 없는 학습이 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교재는 토픽별로 답안형식으로 자료를 정리하였으며, 실전에서 바로 활용하고 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답안지는 10페이지로 한정된 공간이다. 주어진 공간에 답안지를 작성하지 못한다면 무의미하다. 시험장에서 머릿속에 공부한 내용들이 둥둥 떠다니기만 한다면 이 또한 의미없는 공부이다. 10페이지의 한정된 공간에 다양한 주제와 내용들을 압축적으로 서술할 수 있어야 한다. 수강생들은 많은 시간이 주어진 상태에서 논문을 작성하는 연구자나 대학원생이 아니다. 2시간이라는 주어진 시간내에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펼쳐야 한다. 본 교재는 시험장에서 실제 써먹을 수 있도록 정리한 교재이다. 실전용 교재인 것이다. 본 교재로 수험 행정학을 시작하는 수험생들은 모두 합격할 것이라고 믿는다. 수험생들의 건승을 바란다.
쟁점 행정학 핸드북 pdf 다운로드
Chapter 01 행정학 총론
001 행정의 의의 / 08
002 행정학의 과학성과 기술성 / 10
003 행정 변수 / 14
004 본인-대리인 이론 / 14
005 시장실패와 정부실패 / 17
006 NGO / 20
007 시민(주민)참여 / 23
008 공공성(Publicness) / 27
009 뉴노멀 시대 新공공성 탐색 / 30
010 공익 / 32
011 합법성 / 35
012 민주성 / 37
013 합리성 / 38
014 능률성(Efficiency) / 40
015 효과성 / 42
016 공평성 / 43
017 투명성 / 46
018 가외성 / 48
019 사회적 가치 / 51
020 행태주의 / 54
021 현상학 / 55
022 포스트모더니티이론 / 56
023 후기행태주의 / 57
024 신행정학(NPA) / 58
025 공공선택론(PCT) / 60
026 신제도주의 이론 / 64
027 정부의 역할과 기능 / 72
028 큰 정부(big government) / 73
029 작은 정부(small government) / 76
030 작은정부 이론적 배경 / 78
031 신공공관리론(NPM) / 80
032 탈신공공관리론 / 83
033 성과관리 / 86
034 뉴거버넌스론(New Governance) / 90
035 좋은 거버넌스 / 94
036 네트워크 거버넌스:새로운 사회적 조정 양식 / 96
037 협력적 거버넌스 / 99
038 메타거버넌스(metagovernance) 개념화 / 102
039 재난정책분야의 회복탄력성 / 104
040 네트워크 사회와 사악한 문제 / 107
041 심의 민주주의적 행정 결정 / 111
042 공론조사(deliberative polling) / 116
043 공기업 민영화 / 118
044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 / 122
045 민간위탁 / 124
046 정부규제 / 128
047 J. Q. Wilson의 규제정치이론 / 131
048 정부규제의 개혁 / 133
049 네거티브 규제 / 136
050 규제 샌드박스 / 139
051 자발적 협약(VA) / 139
052 사회 자본 / 141
053 시장주의적 행정개혁 / 145
054 참여주의적 행정개혁 / 147
055 사회적 기업 / 149
056 신공공서비스론 / 153
057 행정문화 / 156
058 공공갈등 / 160
059 갈등영향분석 / 163
060 불확실성을 대처하는 증거영향행정(정책) / 167
Chapter 2 조직론
061 균형성과표(BSC) / 170
062 전략기획(strategic planning) / 173
063 정부조직구조개편이론 / 176
064 정부 조직구조의 설계 / 178
065 관료제 / 183
066 관료제와 민주주의 / 185
067 관료제와 정부신뢰 / 187
068 관료제의 병리 / 189
069 조직의 동태화 / 192
070 Mintzberg의 조직 구조의 유형 / 194
071 공공부문 팀제 조직 / 198
072 학습조직 / 201
073 지식관리(knowledge management) / 204
074 위원회 제도 / 206
075 독립규제위원회 / 209
076 공공기관의 관리 방안 / 211
077 준정부조직 생성 원리 / 213
078 책임운영기관 / 215
079 협업의 필요성과 효과적인 추진 방향 / 218
080 조직 문화 / 223
081 리더십 / 226
082 다양한 리더십 유형 / 230
083 중간관리자 / 235
084 동기부여 이론 / 237
085 로크의 목표설정이론 / 248
086 강화이론 / 249
087 공공봉사동기(PSM) / 250
088 공공부문 심리적 계약 / 253
089 의사전달(communication) / 256
090 갈등관리 / 258
091 조직과 환경 / 259
092 Scott의 조직이론 유형 / 261
093 4차산업혁명과 미래 공공조직 /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