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더멘탈 정치학 기본이론 김희철 pdf 다운로드를 무료로 제공합니다 행정고시, 입법고시, 국립외교원 등 각종 시험 대비가 가능한 『펀더멘탈 정치학』 제1권 기본이론 편. 5급 공채 일반 행정직의 필수과목인 정치학을 준비하는 사람들을 위한 교재이다
관련 책 pdf 모음
책 소개
본 교재는 5급 공채 일반행정직의 필수과목인 정치학을 준비하는 분들을 위해 정치학의 기본개념과 핵심이론을 소개한 수험교재입니다. 많은 수험생들이 정치학의 난해함과 복잡함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에서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교재를 출판하였습니다. 특히, 정치학 비전공자들도 순조롭게 정치학의 세계로 진입할 수 있도록 최대한 쉽고 분명하게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계 최고의 정치학 개론 교과서로 널리 호평을 받고 있는 헤이우드(Heywood)의 『Politics』와 세계 최고의 비교정치 교과서로 두루 인정받고 있는 헤이그(Hague)와 헤롭(Harrop)의 『Comparative Government and Politics』 를 가장 많이 참고하였습니다. 제가 직접 영어원서를 읽고 이해한 내용을 토대로 본 교재를 정리하였습니다. 따라서 원서에서 사용된 영어의 뉘앙스를 분명하게 전달하기 위해 원서의 영어표현을 상당수 직접 인용하였습니다. 본 교재를 만들기 위해 여러 교수님들이 저술하신 책들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신명순 교수님의 『비교정치』, 장동진 교수님의 『현대 자유주의 정치철학의 이해』, 김우상 교수님의 『신한국책략Ⅲ』, 진영재 교수님의 『정치학 총론』, 이연호 교수님의 『발전론』, 박재영 교수님의 『국제정치 패러다임』, 유현석 교수님의 『국제정세의 이해』 등과 같이 탁월한 정치학 교과서들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이 책들이 없었다면 본 교재가 출판되는 것은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이 책이 출간될 시점에도 새로운 정치현상이 발생했으며 그에 따라 새로운 연구 성과가 쏟아져 나오고 있기 때문에 이 책에서 그 모든 것을 다 반영할 수 없었음을 넓은 마음으로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추가로 학습해야 할 부분은 학원 강의를 통해 보충하셔서 시험에 만전을 기하시기 바랍니다.
펀더멘탈 정치학 기본이론 pdf 다운
비교정치(Comparative Politics) 18
제1장 정치란 무엇인가? 20
제1절 정치의 기본개념 21
Ⅰ 정치의 정의 21
Ⅱ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21
Ⅲ 정치를 바라보는 4가지 관점 24
Ⅳ 국가현상설과 권력현상설 32
제2장 정치권력(Political Power) 35
제1절 권력의 기본개념 37
Ⅰ 정치학과 권력 37
Ⅱ 권위(authority)와 권력(power) 38
Ⅲ 권력과 민주주의 41
Ⅳ 권력과 국가 42
Ⅴ 권력의 3가지 차원 43
제2절 권력의 정당성(legitimacy) 44
Ⅰ 정당성(legitimacy)과 합법성(legality) 44
Ⅱ 정당성의 역할 45
Ⅲ 권위의 세 가지 종류 45
Ⅳ 상징조작(symbol manipulation) 50
제3장 정치체제(Political System) 51
제1절 구조(structure)와 기능(function) 52
Ⅰ 구조주의(structuralism) 52
Ⅱ 기능주의(functionalism) 52
Ⅲ 구조-기능주의(structural functionalism) 53
Ⅳ 체계이론(system theory):‘체제론’이라고도 한다. 53
제2절 민주적 정치체제의 두 유형:자유민주주의와 비자유민주주의 57
Ⅰ 자유민주주의(Liberal democracy) 57
Ⅱ 비자유민주주의(Illiberal democracy) 60
제3절 비민주적 정치체제의 두 유형:전체주의와 권위주의 63
Ⅰ 전체주의(totalitarianism) 63
Ⅱ 권위주의(authoritarianism) 64
제4절 고전적(classical) 분류체계 65
Ⅰ 아리스토텔레스의 분석 65
Ⅱ 아리스토텔레스의 분류체계 65
Ⅲ 아리스토텔레스의 평가 66
제5절 전통적(traditional) 분류체계 67
Ⅰ 3개의 세계(three worlds) 분류체계 67
Ⅱ 분류체계 유지의 어려움 68
제6절 현대(modern) 세계의 정치체제 69
Ⅰ 서구의 다두정(western polyarchies) 69
Ⅱ 신민주정(New democracies) 71
Ⅲ 동아시아 정치체제(East Asian regimes) 73
Ⅳ 이슬람 정치체계 75
Ⅴ 군사 정치체계(Military regimes) 75
제4장 권력구조(Power structure) 77
제1절 권력구조의 중요성 80
제2절 군주제, 입헌군주제, 공화제 81
Ⅰ 군주제(monarchy) 81
Ⅱ 공화제(republic) 81
Ⅲ 입헌군주제(constitutional monarchy) 81
제3절 대통령제(Presidentialism) 82
Ⅰ 미국의 대통령제 82
Ⅱ 대통령제의 특징 86
Ⅲ 한국의 대통령제 88
Ⅳ 대통령의 선출방법 88
Ⅴ 대통령의 임기제한 90
Ⅵ 부통령과 총리 92
Ⅶ 대통령제의 장점 93
Ⅷ 대통령제의 문제점 95
제4절 의원내각제(Parliamentalism, Parliamentary system) 109
Ⅰ 내각제의 역사 109
Ⅱ 내각제의 기본개념 109
Ⅲ 내각제의 총리 112
Ⅳ 내각제의 대통령:상징적 국가원수 114
Ⅴ 내각제의 유형 114
Ⅵ 소수 정부(minority government):소수파 정부 121
Ⅶ 내각제의 안정성과 효율성 122
Ⅷ 내각제의 장점 124
Ⅸ 내각제의 단점 127
제5절 이원집정제(dual executive system):이원정부제 130
Ⅰ 이원집정제의 등장배경 130
Ⅱ 이원집정제의 특징 130
Ⅲ 프랑스의 이원집정제 132
Ⅳ 이원집정제는 분권형 대통령제인가? 136
Ⅴ 이원집정제의 장점 137
Ⅵ 이원집정제의 단점 138
Ⅶ 한국의 대통령제와 이원집정제 141
Ⅷ 이원집정제의 성공조건 141
제6절 권력구조와 의회의 행정부 견제 기능 142
Ⅰ 대통령제에서의 의회의 행정부 견제 기능 142
Ⅱ 의원내각제에서의 의회의 행정부 견제 기능 143
Ⅲ 이원집정제에서의 의회의 행정부 견제 기능 143
제7절 결론:권력구조론의 정치적 함의 144
Ⅰ 권력구조와 민주주의 144
Ⅱ 유사한 권력구조 내에서의 비교:원형(prototype)과 이상형(ideal type) 144
Ⅲ 상이한 권력구조들의 유형 비교 145
Ⅳ 제도적 유사성과 기능적 상이성 145
Ⅴ 권력구조와 정치문화 145
Ⅵ 권력구조 논의의 필요성 146
제5장 대표(Representation) 147
Ⅰ 개념 148
Ⅱ (직접) 민주주의와 대의제 비교 148
Ⅲ 대의제의 필요성 148
Ⅳ 대표의 모델들 148
제6장 선거(Election) 157
Ⅰ 선거의 중요성 160
Ⅱ 선거의 주요 기능 161
Ⅲ 선거제도(electoral system) 162
Ⅳ 선거의 시기 182
Ⅴ 선거의 의미 183
제7장 투표행위(Voting Behavior) 184
Ⅰ 투표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85
Ⅱ 투표율(turnout) 193
Ⅲ 의무투표제 201
Ⅳ 현직의원의 이점(incumbency advantage) 202
Ⅴ 국민투표(Referendum) 204
Ⅵ 결론 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