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일 통합 국제정치학 pdf 다운로드를 무료로 제공합니다 국제정치학은 국립외교원 후보생 선발 시험뿐이 아니라 외무영사직을 지원하는 수험생 입장에서 어느 정도 점수를 확보해야 하는 전략과목이다
관련 책 pdf 모음
책 소개
문제의 성격 오토만제국은 1453년 비잔티움 제국을 멸망시킨 이후 계속 유럽 본토로 진출하였는데 유럽 열강들이 이에 어떻게 대처하느냐 하는 것이 바로 동방 문제였다. 16세기부터 오토만제국은 쇠퇴의 길을 걷는데 그때까지 오토만제국의 유럽 진출을 저지하고 있던 오스트리아와 러시아가 오히려 침략적인 정책을 추구하였다.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과 쿠츠크 카이나르지 조약은 획기적인 변환의 조약이다. 즉, 흑해의 자유통항권과 해협의 통과 권리도 획득된 조약이다. 1798년 나폴레옹이 이집트를 점령하고 한때 시리아에 관심을 보였으나 나폴레옹 전쟁은 오토만 제국의 운명 자체와는 별 관계가 없었다. 오토만은 빈 회의에 대표를 파견했지만 러시아의 희망에 따라 오토만 문제에 관해서는 아무런 토의도 없었다. 열강의 태도 유럽 열강 중에서도 러시아가 발칸 문제에 있어서 특수한 이익을 갖고 있었다. 이것은 러시아가 오랫동안 발칸 문제에 관여했다는 단순한 사실에 기인하는 것만은 아니다. 오스트리아는 러시아와 함께 오토만 제국의 유럽 진출을 저지한 세력이었다. 러시아와 오스트리아 다음으로 이 지역에 관심을 가진 나라는 프랑스였다. 프랑스는 가톨릭의 보호국이었다. 또한 영국은 오토만제국의 현상유지 정책의 충실한 이행자 입장이다. 이러한 열강의 각축은 1923년 오토만제국의 붕괴이후 공화국 터키가 탄생하게 되면서 사라지게 된다. 그리스 독립 그리스 문제 그리스의 독립은 1821년 3월 몰다비아와 모레아 지방에서 일어난 독립운동을 시발점으로 해서 1830년 2월 런던 회의에서 열강의 승인을 받을 때까지 10년이나 걸려서 쟁취되었다. 영국과 오스트리아는 베로나 회의에서 그리스의 합법적인 지배자는 오토만 제국의 황제라는 사실의 확인을 러시아로부터 받아내는데 성공하였다. 또한 러시아가 열강과 협의하지 않고 독자적인 행동을 취하지 않겠다고 추가로 약속했다. 영국 러시아 의정서(1826년) 베로나 회의를 마치고 본국에 돌아온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1세의 태도는 돌변하였는데 그리스 문제를 위한 국제회의의 개최를 다시 제안하였다. 그렇지만 러시아의 구상에 열강은 동의하지 않았다. 러시아의 구상은 그리스를 3개의 공국으로 나누고 이들 공국을 발칸의 다른 공국들과 같은 법적 지위를 갖게 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열강과 그리스는 반대하였고 1821년 이미 그리스는 독립을 선포하였다. 그러나 그리스 독립운동은 그 내분이 심각해 자체 분열이 일고 있었다. 이런 분위기에서 터키는 이집트의 모하메드 알리에게 그리스 독립운동의 진압을 요청하였다. 영국과 러시아는 직접 교섭을 해 의정서가 1826년 체결된다. 그리스는 오토만제국의 종속국이지만 자치지역의 법적 지위를 갖는다는 내용인데 터키는 이러한 중재안을 거부한다. 러시아 터키 전쟁(1828∼1829) 오토만이 중재를 거부하자 영국, 러시아, 프랑스 세 나라는 1827년 7월 6일 런던 조약을 체결하였다. 이 조약은 1개월 이내에 오토만이 세 나라의 중재조건을 수락하지 않으면 그리스에 영사를 파견하겠다는 내용이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나바리노 만 사건이 터진다. 러시아는 1828년 오토만에 전쟁을 선포하였고 프랑스 역시 원정군을 파견하였다. 러시아와 터키 사이에 평화조약이 체결되자 그리스 문제는 1830년 2월 3일 런던 의정서의 채택으로 곧 해결되었다. 그 내용은 영국, 러시아, 프랑스 세 나라가 그리스의 국경선을 정하고 그리스 국왕으로서는 이들 세 나라의 지배 가문에 속하지 않는 기독교 군주를 추대한다는 내용이다.
김중일 통합 국제정치학 pdf 다운
CHAPTER 01 동양의 외교사 7
01. 동방 8
02. 크림전쟁 12
03. 러시아-오토만 제국 전쟁 20
04. 유교권 질서의 붕괴 24
05. 일본의 개국 33
06. 청?일전쟁 37
07. 러?일전쟁 49
08. 약탈제국주의와 조선 62
09. 교린질서와 조선 68
10. 조선의 새로운 외교정책 74
11. 조선과 미국의 수호조약 79
12. 조선과 서양 열강의 수호조약 82
13. 임오군란 88
14. 갑신정변 92
15. 청일전쟁, 러일전쟁, 그리고 조선 98
CHAPTER 02 서양의 외교사 105
01. 빈체제 106
02. 유럽협조체제 112
03. 근대국가 117
04. 새로운 동맹들의 형성 134
05. 세계분할의 완료 139
06. 전쟁의 세계화 147
07. 베르사유 조약 체제 158
08. 안정과 혼란의 공존 178
09. 혼란의 세계외교사 181
10. 유화와 침략의 공존 190
11. 제2차 세계대전 202
12. 냉전사 232
CHAPTER 03 국제정치이론 259
01. 이상주의 (Idealism) 260
02. 자유주의 패러다임의 특징 266
03. 외교정책결정이론 (Foreign Policy Decision-making Theory) 276
04. 통합이론 (Theories of Integration) 288
05. 상호의존론 (Complex interdependence) 295
06. 신자유주의 (Neoliberalism) 308
07. 양면게임(two-level game) 324
08. 민주평화론(Democratic peace theory) 329
09. 현실주의 패러다임 335
10. 전통적 현실주의(Traditional Realism) 339
11. 행태주의적 현실주의 (Behavioralism) 347
12. 신현실주의 (Neorealism) 357
13. 패권 안정론 (Hegemonic Stability Theory) 369
14. 탈냉전기의 신현실주의 (Neorealism) 376
15. 세력전이이론 (Power Transition Theory) 388
16. 신고전적 현실주의 (Neoclassical realism) 393
17. 지정학 이론 (Geo-Politics) 401
18. 구조주의 (structuralism) 409
19. 구성주의 424
CHAPTER 04 국제정치 이슈 433
01. 미국의 외교정책 434
02. 미국의 대아시아정책 440
03. 미국의 방위전략 444
04. 중국의 대외정책 451
05. 일본의 외교전략 471
06. 러시아의 외교정책 482
CHAPTER 05 지역외교 487
01. 동남아시아 국가연합(ASEAN) 및 동아시아 안보 현황 488
02. EU 형성과정 499
03. BRICS 511
04. 동아시아 해양영토 분쟁 516
CHAPTER 06 글로벌 이슈 523
01. 글로벌 거버넌스 524
02. 나토(NATO) 연혁과 현황 528
03. 기후변화 협상 541